자바 배열 출력
예시 int [] arr1 = new int []{1,2,3,4,5}; System.out.println("arr1 toString: "+ Arrays.toString(arr1)); int [][] arr2= new int [][]{{1,2,3},{4,5,6},{7,8,9}}; System.out.println("arr2 toString:"+ Arrays.toString(arr2)); System.out.println("arr2 deepToString: "+ Arrays.deepToString(arr2)); 출력 결과: 결론 - 1차원 배열 요소 출력 : `Arrays.toString()` - 2차원 배열의 요소 출력 : `Arrays.deepToString()` 사용
2023. 5. 9.
[백준] 1004_어린왕자
목차 🔐문제 풀이 시행착오 두 점 간의 거리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이 공식을 응용하여 문제를 풀었다. - 만약 두 점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 보다 작다면, 점이 원 안에 포함되어 있다 - 따라서, 거리가 반지름 보다 작다면 cnt를 중가시켜, 총 개수를 구한다 - point 0과 point1, point2와 point3은 세트 이므로,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import sys def isIn(points , x,y,r): cnt = 0 for i in range(0,4,2): #0,2 if ((points[i]-x)**2 + (points[i+1]-y)**2)
2023. 2. 20.
약수 효율적으로 찾기
목차 모든 경우를 탐색 : O(N) def getDiv(num): lst = [] for i in range(1,num+1): if num % i ==0 : lst.append(i) return lst print(getDiv(100)) # [1, 2, 4, 5, 10, 20, 25, 50, 100] 위의 코드의 경우 1부터 100까지 하나하나 비교하여 약수를 찾는다. 만약 1억의 약수를 구하고자 한다면, 1억 번을 반복해야 한다. 시간 복잡도가 O(N) 이기 때문에 수가 커질 수록 런타임 초과 오류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효율적 탐색 : O(√N) 1부터 √N까지 수 중 나누어 떨어지는 수를 찾고, N을 해당 값으로 나눈다 만약 100의 약수를 구한다면, √100 = 10이므로, 100은 1..
2022. 11. 23.